고양이에 관한 소소한 이야기/HCM (비대성심근증)9 9.HCM 발병 3년차, 조금씩 나아지고 있다 할까? #HCM 발병 3년 차, 정말 놀랍게도 아무 일도 없었다 :)보리가 최근 진료를 받은 날짜는 23년 5월 9일 햇살이는 23년 6월 18일 보리는 혈액검사 수치 정상, 관절도 정상이고 가장 중요한 심장 크기도 꽤나 줄어 육안상으론 정상 크기로 보이고 심근 두께는 5.8mm로 기존의 가장 두꺼웠을 때 7mm로 나왔던 것에 비해서 많이 줄었다. (보리가 다니는 병원에서는 6mm부터 이상이 있다고 본다.) 수치로만 보면 정상적인 고양이로 보이고 'TNT(일시적 심근 비대증)가 아닐까?' 하는 생각도 들지만 TNT인 고양이들은 발병 직후 6개월 내로 수치들이 호전되었지만 보리는 3년 차에 일어난 변화이기에 아직은 TNT인지, 단약을 해도 될는지를 판단하기엔 섣불러서 기존 약을 계속 먹이며 1년 뒤의 검진 결과를.. 2023. 8. 8. 8.벌써 2년 차, 여전히 행복하게 #HCM확진 2년 차, 잘 지내고 있을까? 그렇다! 보리가 '폐수종'으로 죽을 고비를 겪고 햇살이도 확진을 받았을 때 애들이 3개월이라도 버텨줄까 싶었던 걱정이 어느새 2년이 지났고 현재는 여전히 행복하게 잘 지내는 중이다:) 그간 보리는 4번의 검진, 햇살이는 2번의 검진을 받았다. 보리는 HCM으로 인한 발병이 일어났기에 6개월에 1번이고 햇살이는 아직 발병이 일어나지 않았기에 1년에 1번이다. 결과는 둘 다 '변화가 없다.'이다. 사실 이 현재의 결과가 '좋다.'의 결과보다는 '흠-.'정도의 결과이다. 주치의 선생님께 2년만에 어렵게 물어본 질문이 있다. "HCM이라는 게 계속 진행되어 악화가 된다던데 우리 애들이 이렇게 2년 동안 변화가 없다면 좋은 건가요?" 이 질문을 총 6번의 검진을 하면서 .. 2022. 9. 19. 7.HCM과 치아건강 + 근황 #HCM 고양이는 치과 치료가 가능할까? 어렵다! 우리 집 고양이들은 2일에 한번 칫솔과 버박 치약으로 양치를 한다. 매일 하면 좋겠지만 워낙 싫어해 칫솔만 들어도 도망가기에 스트레스를 많이 줄까 싶어서 2일에 한 번으로 타협했다. (또 어디서 봤는지 기억은 안나지만 치석이 생기는 것은 3일 이상 양치를 안 했을 때라고 봤던 기억이 얼핏...?) 그런데, 어느날 보리의 위쪽 어금니를 보니 치아 사이에 검은 무언가가 보여서 충치인 것 같기도 하고 2살이 넘었으니 스케일링 할때도 되었다고 생각했기 때문에 병원으로 향했다. 다행히도 충치가 아니고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서 치아 사이 색상이 약간 변한 것이라고 하셨다. 치아, 치석 상태도 매우 좋은 편이기에 유지만 하면 된다고 하셨다 :) 그리고 보리같이 HCM이.. 2021. 1. 6. 6.햇살이도 HCM확진을 받았다 #햇살이도 HCM확진을 받다 우리집에는 보리말고도 다른 귀염둥이 햇살이가 있다. 보리가 2018년 6월 13일(추정)생이고 햇살이는 2018년 10월 31일생으로 4개월 차이 나는 동생이다. 보리가 폐수종에 걸리고 HCM확진을 받으며 많이 슬퍼했었는데 깨발랄한 햇살이 덕분에 금새 정신차리고 일상으로 복귀할 수 있었다. 2020년 9월 14일, 보리가 처방약을 먹으며 안정을 찾았기에 슬슬 햇살이도 건강검진을 해야겠다는 가벼운 마음으로 병원에 방문했다. 2살도 안된 아가 고양이라 기본적인 검사와 더불어 스코티쉬 킬트+먼치킨 롱레그 믹스인 햇살이 이기에 혹시 몰라서 ProBNP(심장 호르몬)검사를 추가적으로 진행했다. 개구호흡을 할 정도로 혼자 우다다도 많이 하고 장난감을 한번 꺼내면 정말 미친(?)듯이 노는.. 2020. 9. 16. 5. HCM 2번째 정밀검사, 차도가 있다! #처방약과 영양제를 꾸준히 먹였더니 차도가 있다. - 2020년 8월 14일 첫 검사 이후 한달이 지나 심장초음파와 혈액검사로 재정밀 검사를 해보았더니 좋은 결과가 나왔다! 나아지긴 어렵다고 하셨던 선생님께서 "약이 효과가 있긴 하네요! 조금 나아졌어요!"라고 하셨다. 1달 전 검사보다 심장크기가 약간 작아졌고 판막이상증세도 안보인다고 하셨다! 만세♥ 상태가 좋아졌기에 점차 검사 시기를 늘려가자고 하셨다. 그래서 다음 검사는 3달 뒤ㅎㅎ 처방약은 캡슐형태이다보니 굳을 수 있어서 1달에 1번씩 집사만 방문하여 받아가기로 했다. HCM이 나은 것은 아니기에 방심은 금물! 이지만 너무 기쁘다!ㅎㅎ 처방약도 효과가 있었지만 같이 먹인 영양제와 저염식단이 보리 건강의 질을 많이 바꾸지 않았을까 싶다. :) 현재 .. 2020. 9. 9. 4. HCM 첫 정밀 검사 #첫 심장초음파 - 2020년 7월 13일 알아봐둔 집근처 병원에서 처음 심장초음파와 정밀 검사를 받았다. 우선 X-ray상으로는 폐수종은 거의 다 나았다고 봐도 좋을 정도로 좋아졌다. 하지만 정밀 심장초음파를 해보니 역시나 HCM확진을 받았다. 심장초음파 결과는 좌심실 심근 두께는 5 - 7mm (6mm 이상이면 문제있다고 봄) 좌심방 크기는 1.4cm (1.5cm 이상이면 문제있다고 봄) 판막 이상 증세로 좌심실 판막이 대동맥 판막을 막는 현상까지 있다고 한다. 이로인해 급사할 가능성이 더 커졌다고 하셨다. 앞으로 살 날은 정확히 예견할 순 없지만 1년 이상 보기 어렵다고도 하셨다. 처방약은 더 나빠지지 않기 위해 먹이는 것이고 드물게 나아지는 고양이도 있지만 거의 나아지지 않는다고 보는게 좋다고 하.. 2020. 9. 9. 이전 1 2 다음